피상속인의 배우자와 자녀 중 자녀 전부가 상속을 포기한 경우 배우자와 손자녀 또는 직계존속이 공동상속인이 되는지 아니면 배우자…
페이지 정보

본문
○ 해당 판례 : 대법원 2023.3.23. 선고 2020그42 전원합의체 판결
○ 판시내용
민법 제1000조~제1043조의 조문에서 규정하는 ‘상속인’은 모두 동일한 의미임이 명백하다. 따라서 민법 제1043조의 ‘상속인이 수인인 경우’ 역시 민법 제1000조 제2항의 ‘상속인이 수인인 때’와 동일한 의미로서 같은 항의 ‘공동상속인이 되는’ 경우에 해당하므로 그 동동상속인에 배우자도 당연히 포함되며, 민법 제1043조에 따라 상속포기자의 상속분이 귀속되는 ‘다른 상속인’에도 배우자가 포함된다.
이에 따라 공동상속인의 배우자와 여러 명의 자녀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속을 포기한 경우의 법률효과를 본다. 공동상속인 배우자와 자녀들 중 자녀 일부만 상속을 포기한 경우에는 민법 제1043조에 따라 그 상속포기자인 자녀의 상속분이 배우자와 상속을 포기하지 않은 다른 자녀에게 귀속된다. 이와 동일하게 공동상속인인 배우자와 자녀들 중 자녀 전부가 상속을 포기한 경우 민법 제1043조에 따라 상속을 포기한 자녀의 상속분은 남아 있는 ‘다른 상속인’인 배우자에게 귀속되고, 따라서 배우자가 단독상속인이 된다.
- 이전글동일인과의 연속된 금전대여거래에서 회수불능채권이 발생한 경우 동일 과세기간에 기 수취한 종전채권의 이자소득을 회수불능채권의 원금에서 차감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 사안 25.07.16
- 다음글기본세율 적용기간에 취득한 주택과 기본세율 적용기간 외에 취득한 부수토지를 일괄 양도 시 해당 주택의 부수토지에 대하여도 기본세율을 적용하여야 하는지 여부 25.05.13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